default_top_notch
ad34

흡연, 신경퇴행 빨라져...치매 일찍 찾아와

기사승인 2015.08.24  15:03:01

공유
default_news_ad1

[한인협 = 조희선 기자] 장기간의 흡연이 뇌의 신경퇴행을 가속시켜 치매를 더 일찍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서상원(신경외과), 신희영·강미라(건강의학본부) 교수팀은 연세대의대 김창수·조한나 교수팀과 공동으로 유럽신경과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24일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2008년 9월부터 2012년 12월 사이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남성 977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한 뒤 이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해 뇌를 연구했다.

흡연력에 따라 비흡연자 70명과 금연자 539명, 흡연자 116명이 표본 대상이며 이들을 구분해 대뇌피질 두께를 비교했다.

연구 참여자의 평균나이는 64.9세(±7.1)로 치매검사에서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고 인지기능도 정상인 상태였다. 대뇌피질의 기능이 망가지면 알프하이머성 치매가 올 수 있다. 대뇌피질에는 약 860억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사람의 뇌 중 4분의 1의 신경세포가 있다. 대뇌피질은 방대한 감각 정보에 대한 처리와 종합은 물론 의식적 사고와 인지, 문제 해결 등을 담당한다. 이 부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결정짓는다.

분석 결과 흡연자 그룹의 대뇌피질 두께는 비흡연자 그룹보다 평균 0.035㎜ 감소한 것으로 측정됐다. 대뇌피질의 정상 두께는 1.5∼4.5㎜이다. 이는 상당 수준의 감소량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런 두께 차이는 흡연기간이 길수록 더욱 커졌다. 같은 흡연자라도 금연을 한 사람은 이런 차이가 0.010㎜로 줄어들었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연구팀은 흡연을 하면 뇌에서 신경학적 퇴행이 발생해 대뇌피질의 두께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했다. 서상원 교수는 “나이와 교육수준, 음주량, 고혈압, 당뇨, 비만도 등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위험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흡연 여부는 치매 발병의 주된 요소로 확인됐다”면서 “하루라도 빨리 금연하면 흡연으로 인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ad41

조희선 기자 hscho@kimcoop.org

<저작권자 © 한국인터넷언론인협동조합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ad39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ad40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